손익 계산 방법
하루 또는 기간별로 발생한 모든 거래를 차/대변으로 나누어 시산표 형태로 출력한 화면입니다. 날짜 선택으로 일계표와 월계표 2가지로 구분되며, 일반전표 및 매입매출 전표에서 입력된 거래의 계정과목을 나열하여, 합계잔액시산표의 형태로 차변과 대변으로 나누어 한 눈에 알아보기 쉽도록 작성한 표입니다.
ㆍ잔액이 차변에 기재되는 경우, [차변-대변]으로 계산하고, 대변에 기재되는 경우 [대변-차변]으로 계산합니다.
ㆍ잔액 계산 시 부(-)의 금액이 나올 수 있으며, 금액 앞에 부(-)로 표기하여 확인됩니다.
ㆍ계정 체계에 따라 계정과목을 순서대로 기재하며, 계정과목 및 잔액 표기 위치 및 계산방법은 아래의 계정체계에 따라 계산하여 보여주도록 한다.
(단, [기초정보>계정과목관리] 화면에서 성격이 ‘4.차감’ 인 계정과목의 잔액은 대변에 나타납니다.)
■ 자산
- 계정체계(계정코드): 당좌자산(10100~14599) / 재고자산(14600~17599) / 투자자산(17600~20099) / 유형자산(20100~23099) / 무형자산(23100~25099) / 기타비유동자산(96100~98099)
- 잔액 기재 위치(손익 계산 방법 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부채
- 계정체계(계정코드): 유동부채(25100~29099) / 비유동부채(29100~33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대변기재 (대변-차변)
■ 자본
- 계정체계(계정코드): 자본금(33100~34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대변기재 (대변-차변)
■ 이익잉여금
- 계정체계(계정코드): 자본잉여금(34100~35099) / 이익잉여금(35100~38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대변기재 (대변-차변)
■ 자본조정
- 계정체계(계정코드): 자본조정(38100~40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기타포괄손익
- 계정체계(계정코드): 기타포괄손익(98100~99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매출
- 계정체계(계정코드): 매출(40100~42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대변기재 (대변-차변)
■ 매출원가
- 계정체계(계정코드): 매출원가(45100~47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제조원가
- 계정체계(계정코드): 제조원가(50100~60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손익 계산 방법 도급원가
- 계정체계(계정코드): 도급원가(60100~70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분양원가
- 계정체계(계정코드): 분양원가(70100~80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판매/관리비
- 계정체계(계정코드): 판매/관리비(80100~90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영업외수익
- 계정체계(계정코드): 영업외수익(90100~930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대변기재 (대변-차변)
■ 영업외비용
- 계정체계(계정코드): 영업외비용(93100~96099) 손익 계산 방법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중단사업손익
- 계정체계(계정코드): 중단사업손익(99100~997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 법인(개인)
- 계정체계(계정코드): 법인(개인)(99800~99999)
- 잔액 기재 위치(잔액계산방법): 잔액 차변기재 (차변-대변)
손익 계산 방법
Q. 저는 혼자 가게를 하려고 계획하던 중 자금이 모자라 이를 출자해 줄 동업자를 구했습니다. 그런데 이 사람이 출자를 해서 공동으로 경영하되, 가게가 일정 금액의 이익을 얻을 때까지 자신만 이익분배를 받아가고, 저는 추후 어느 정도 가게가 정상궤도에 오르면 받아가라고 합니다. 이런 식으로 동업계약을 작성해도 되나요?
A. 안 됩니다. 각 조합원은 출자가액에 비례해 손익분배를 받아야 합니다. 조합관계가 있으려면 서로 출자해 공동사업을 경영할 것을 약정해야 하고, 영리사업을 목적으로 하면서 당사자 중의 일부만이 이익을 분배받고 다른 자는 전혀 이익분배를 받지 않는 경우는 조합관계(동업관계)라고 할 수 없어 조합이 성립되지 않습니다.
사업소득이 발생하는 사업을 공동으로 경영하고 그 손익을 분배하는 공동사업(경영에 참여하지 않고 출자만 하는 출자공동사업자가 있는 공동사업 포함)의 경우 해당 사업을 경영하는 장소(이하 “공동사업장”이라 함)를 1거주자로 보아 공동사업장별로 그 소득금액을 계산합니다(「소득세법」 제43조제1항).
공동사업에서 발생한 소득금액은 해당 공동사업을 경영하는 각 동업자(익명동업자, 유한책임동업자 포함) 간에 약정된 손익분배비율(약정된 손익분배비율이 없는 경우에는 지분비율을 말함. 이하 '손익분배비율'이라 함)에 따라 분배합니다(「소득세법」 제43조제2항).
공동사업장별로 사업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발생한 결손금은 각 동업자가 그 과세기간에 대한 종합소득세를 계산할 때 근로소득금액·연금소득금액·기타소득금액·이자소득금액·배당소득금액에서 순서대로 공제합니다(「소득세법」 제45조제1항).
부동산임대업에서 발생한 결손금과 종합소득에서 공제하고 남은 결손금(이하 “이월결손금”이라 함)은 해당 이월결손금이 발생한 과세기간의 종료일부터 15년 이내에 끝나는 과세기간의 소득금액을 계산할 때 먼저 발생한 과세기간의 이월결손금부터 순서대로 다음의 구분에 따라 공제합니다(「소득세법」 제45조제3항 본문).
※ 「소득세법」 제45조제3항의 이월결손금 공제에 관한 과세기간(15년)은 2020년 1월 1일 이후 개시한 과세기간에 발생한 결손금부터 적용되며, 그 이전에 개시된 과세기간에 발생한 결손금은 10년의 과세기간의 적용을 받습니다[「소득세법」 (법률 제17757호) 부칙 제7조].
손익예상 판관비 계산방법 문의드립니다.
프로젝트별로 손익 예상시 인건비는 투입인원에따라 예상하고, 공통경비(사무실임대료, 관리비등)는 어떻게 배분해야 하는지 문의드립니다.
총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에서 활동하고 있는 탤런트뱅크 한만용 전문가입니다.
손익계산서는 회사가 얼마의 이익을 냈는지 알려주는 재무제표입니다.
손익계산서의 목적?
손익계산서는 정해진 기간 동안 회사가 제품을 팔거나 서비스를 제공하여 매출을 얼마나 일으켰으며, 그 매출을 발생시키기 위해 얼마를 지출했고, 결과적으로 이익 또는 손실이 어느정도인지에 대한 정보를 알려줍니다.
창업가는 아무래도 손익계산서가 궁금할 수 밖에 없습니다.
“어떻게 하면 매출을 늘리고 원가와 비용을 줄여서 이익을 많이 낼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끊임없이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다시말해 회사의 경영활동이 손익계산서와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손익계산서에는 “매출 – 지출 = 이익” 이라는 단순하고도 중요한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지출 항목
원가
비용
원자재 가격, 생산직 근로자의 임금 등 제품을 만드는데 직접 들어간 돈입니다.
영업 활동, 사무직 근로자의 임금 등 간접적으로 제품 판매에 기여한 돈입니다.
손익계산서와 계정과목
⑴ 손익계산서의 의의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 1/1~12/31, 7/1~익년6/30, 3/1~익년2/28) 동안 기업의 경영 성과, 즉 수익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재무보고서이다. 손익계산서는 일정기간동안 주주와의 자본거래를 제외한 모든 거래나 사건에서 인식한 자본의 변동으로서 주주의 투자및 주주에 대한 분배 등 자본거래를 제외한 모든 원천에서 인식된 자본의 변동이 포함된다.
⑵ 수익의 계정과목
1) 수익의 의의
수익은 정상영업활동과정에서 기업이 일정기간 동안 고객에게 인도한 재화 또는 제공한 용역의 판매금액으로부터 발생한다. 여기에는 상품을 판매하고 받은 상품매출이익,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은 수수료 수익 등이 있다.
2) 이익의 종류
① 매출총이익:상품판매 수익인 매출액에서 판매된 상품의 구입원가인 매출원가를 차감하여 계산한다. 매출총이익을 총이익이라고 지칭하는 이유는 순이익을 계산하려면 이금액에서 일반영업비용 등의 비용을 추가로 차감하기 때문이다.
매출총이익은 기업의 수익성을 판단할 수 있는 손익 계산 방법 가장 기본적인 회계정보이다.
② 영업이익:매출총이익에서 영업비용(물류원가와 판매비와 관리비)을 차감하여 계산한 다. 그리고 손익 계산 방법 기업의 판매활동과 관리활동의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자료이다.
③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영업이익에 금융수익을 가산하고 금융비용을 차감하여 계산된 이익이다. 금융수익과 금융비용은 기업의 투자와 재무활동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영업이익과 구분하여 보고한다.
④ 당기순이익과 주당이익:당기순이익은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익에서 법인세비용을 차감 하여 계산된 이익이다. 그리고 주당이익은 당기순이익을 1주당 금액으로 환산한 이익 이다. 기업은 당기순이익을 주주에게 배당하고, 사내유보하여 재투자한다.
⑤ 총포괄이익:당기순이익뿐만 아니라 기타포괄손익까지 반영하여 계산된 이익(K- IFRS에서 공시)이다.
⑥ 수익계정과목의 형태 수익은 ~이익, ~수익, ~료(임대료), ~차익(보험차익, 외환차익), ~환입(대손충당금환 입, 매도가능증권손상차손환입)으로 끝나는 계정과목이다.
손익 계산 방법
- 언제부터 언제까지 얼마 벌었는지(수익) 그 수익을 내기위해 얼마를 썼는지(비용)의 결과로 이익 혹은 손실이 결과로 나타난다.
- 수익에는 현금판매액에 더해 외상판매액도 포함된다.
- 비용에는 현금지출액에 더해 외상금액도 포함된다.
2 수익, 비용, 손익 계산하기
- 이번달 번 금액이 300만원인데 이중 200만원은 현금으로 받고 100만원은 나중에 받기로 했다. 월세 50만원, 이자20만원, 관리비 30만원을 내고 직원 월급 150만원중 100만원만 현금으로 주고 50만원을 다음달에 준다고 하였다. 수익, 비용, 손익, 순현금유입(유출)을 계산하라
- 현금흐름표 : 기업의 흑자도산을 예측하기 위한 정보로 사용. 순현급유입과 유출을 계산한다.
3 손익계산서 양식
-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뺐을 때 매출총손익이 되는데 그 값이 양수이면 매출총이익, 음수이면 매출총손실이라고한다.
- 매출액(매출원가)는 매출액 - 매출원가의 표현방식이다.
-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 고유목적사업과 관련된 항목
- 영업외수익, 영업외 비용 : 비고유목적사업과 관련된 항목
매출액 (매출원가) |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손익(매출총이익, 매출총손실) |
매출총이익 (판매비, 관리비) | 매출총이익 - 판매비, 관리비 | 영업손익(영업이익, 영업손실) |
영업이익 영업외수익 (영업외비용) | 영업이익 + 영업외수익 - 영업외비용 | 법인세차감전순손익(법인세차감전순이익, 범인세차감전순손실) |
법인세차감전순손익 (법인세) | 법인세차감전순손익 - 법인세 | 당기순손익(당기순이익, 당기순손실) |
4. 손익계산, 해석 연습
- 매출액 500/ 매출원가 300/ 매출총이익 +200
- 이익이 발생됨으로 물건을 계속 팔아도 된다
- 매출액 200/ 매출원가 300/ 매출총손실 -100
- 물건을 팔면 팔수로 손실이다. 그만 팔아야한다.
- 판매, 관리 하는데 손실이 남. 따라서 영업활동을 그만해야 함.
- 손익 계산 방법 영업활동을 계속해도 문제 없음
- 물건을 팔고 영업활동을 해도 되는데 쓸데없는 영업외활동을 중단해야함.
- 손익 계산 방법 물건을 팔고 영업활동도 잘하는데 영업외활동까지 잘하다니!
- 당기순이익이 났지만 영업활동에서는 손해만 보고 있고(매출이 안나는 회사) 영업외 활동에서 이익이 창출 되었음. 따라서 당기순이익만 보는 것은 위험하다. 그렇기 때문에 고유목적사업과 관련된 수익, 비용인지 구분하는 것이 중요하다.
5 손익계산서 작성 연습
- 자금조달을 위해 사재 200,000원 출연, 은행에서 300,000원 대출.
- 사무실 임차료(두달치) 300,000원 미리 지급 (이 항목은 2개월 뒤에 자산에서 비용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 PC 100,000원
- 사무용품 20,000원
- 에어컨 20,000원
- 여유자금 60,000원 필요
- 두달동안 총수익은 1,000,000원이다.
- 60,000원은 인건비로 지출.
- 수익에서 비용을 제하였더니 500,000원의 이익 발생.
- 사무실 임차료는 이제 돌려받지 못한다.
- PC, 에어컨, 사무용품은 이제 폐기한다.
최종단계에서 이익잉여금 자본에 추가하는것을 잊지말자.
*분석
- (회사명)은 (일정 시점)에 300,000원을 차입하고 주주로부터 200,000원을 투자받아(재무활동) 500,000원으로 운영에 필요한 자산을 구입하였다.(투자활동) 그리고 두달간 500,000원의 이익을 창출하였다.(영업활동)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