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트의 패턴 분석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3월 5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삼각 수렴 결국 하방이탈하며 1파동만큼 하방 이탈 되었다.

헤드앤숄더 역헤드앤숄더 차트 패턴 분석하기

차트상에 나타나는 특정한 형태를 말한다. 시장에서 가격의 움직임은 한 방향으로 움직이기보다 저점과 고점의 범위에서 지그재그 형태로 왔다 갔다 하는데 그 움직임을 자세히 보면 대체로 일정한 모양을 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 일정한 모양의 형태를 분석하고 연구한 것이 패턴 분석기법이다.
패턴 분석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는 라는 것.
시장을 구성하는 것은 사람이고 사람은 과거의 상황을 돌이켜 그와 유사한 상황에서 취했던 행동을 그대로 답습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행동 재무학에서는 변화에 의한 저항, 현상 유지 편향이라고 본다.

해드엔숄더패턴은 상승추세의 반전 패턴 중의 하나이다.

1. 헤드엔숄더/머리어깨형

헤드 앤 숄더 패턴이 반전 패턴이 되려면 반드시 상승추세가 있어야 적용이 된다.

  • 왼쪽 어깨 진행 중인 상승추세에서 고점을 기록한다 고점을 형성 후에 하락이 발생하고 왼쪽 어깨가 형성이 된다. 이때의 저점은 추세선 상단에 위치해서 상승추세는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
  • 머리 왼쪽 어깨 저점으로부터 상승하여 전고점을 돌파하여 새로운 고점 머리 꼭대기를 형성하게 된다. 고점 형성후 하락은 목선의 두 번째 저점을 형성하는데 이 저점은 상승 추세선 밑으로 형성되어 이제 상승추세를 의심해봐야 한다.
  • 오른쪽 어깨 머리에서 하락한 저점에서 상승이 오른쪽 어깨를 형성하는데 이 고점이 머리 꼭대기보다는 낮으며 왼쪽 어깨 고점과 비슷한 수준까지 간다. 왼쪽 오른쪽 어깨의 고점이 거의 유사할 때도 있지만 약간 다를 때도 있다. 그리고 그 후에 진행되는 하락은 넥라인보다 더 밑으로 떨어진다.

헤드 앤 숄더 패턴에서도 거래량은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 왼쪽의 거래량이 가장 활발하며 머리를 지나서부터는 거래량이 조금씩 줄어들며 오른쪽 어깨를 형성할 때는 거래량이 더욱더 감소한다. 이때는 헤드 앤 숄더 패턴을 예상하고 상승추세에서의 전환을 생각을 해야 한다.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4. 세력이 만드는 추세와 패턴의 비밀) - 민경인

차트의 맥 Part 2 두번째 요약입니다. 이전 요약본을 못 보신 분들을 위해 Link 첨부드립니다.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1. 세력이 만드는 캔들의 비밀) - 민경인 https://causinvestment.tistory.com..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3. 이동평균선의 특급 비밀) - 민경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3. 이동평균선의 특급 비밀) - 민경인

차트의 맥 Part 2 세번째 요약입니다. 이전 요약본을 못 보신 분들을 위해 Link 첨부드립니다.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맥 (Part 2 - 01. 세력이 만드는 캔들의 비밀) - 민경인 https://causinvestment.tistory.co..

앞선 글에서와 마찬가지로 당부드리고자 하는 것은 .

글의 내용은 공식처럼 암기를 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글에서 설명하는 것들이 왜 그런 지 스스로 이해를 해보려고 노력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고, 그런 학습 법이 실전에 도움됩니다. 그 이유는 실전에서는 이 책에서 본 내용과 실제 상황이 반드시 1:1로 mapping이 되는 것이 아닐 수 있고, 상황을 파악하는데는 "이해"로 무장된 머리가 필요하지, 단순 "이론"으로 무장된 눈이 필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후자는 오히려 위험한 결과를 낳기도 합니다. 그리고 예측보다는 해석과 대응에 이 책의 내용을 활용하시면 꼭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Part 2 - 04. 세력이 만드는 추세와 패턴의 비밀

추세: 주가가 움직여 나아가는 방향, 고점과 저점이 움직이는 방향

* 거래량 추이와 함께 볼 것

- 보합 추세에서 거래량 급감은 가격 급등 전환 가능성 동반

· 상승 추세: 매수세력 > 매도세력

매수세력의 힘은 저점을 통해 나타나며, 상승추세 중 의미있는 저점들을 서로 연결하면 상승추세선이 완성됩니다.

매수세력은 주가하락 중에도 유입되지만, 고점에서 매도세력의 힘에 압도 당합니다. 하락추세 중 의미있는 고점들을 서로 연결하면 하락추세선이 완성됩니다.

추세선이 의미가 있으려면 3개 이상의 의미있는 고점과 저점을 연결한 선이어야 합니다. 추세선은 가격차트 뿐만 아니라 거래량 차트에도 적용가능합니다. 거래량 바닥시점과 거래량 증가 시점을 추세선으로 그리다 보면 거래량 매수급소가 탄생합니다.

추세선을 그리다 보면 고점과 저점이 평행한 추세선으로 그려지는 경우, 즉 추세대를 형성할 경우가 있는데, 일단 추세대가 확인되면 주가는 추세대 내에서 움직일 가능성이 커집니다.

- 주가가 추세대를 돌파할 경우에는 추세반전의 신호로 해석 가능합니다.

추세선을 이용한 기본 매수 신호

- 상승추세: 상승지지선에 닿고 반등할 때, 상승 저항선을 돌파할 때

- 하락추세: 지지선을 닿고 반등할 때, 위쪽을 뚫을 때는 가급적 매수하지 말고 관망할 것

- 삼각밀집추세: 전고점과 전저점이 한곳으로 모이는 쐐기형 패턴에서는 고점 추세선을 돌파하는 지점을 최고의 매수시점으로 삼음.

추세선의 신뢰도 분석

추세는 한번 진행되면 추세가 깨질 때까지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음. 특히, 상승 추세에서는 추세선이 깨질 때까지 추세흐름을 타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단, 언제 어느 때고 추세 반전은 급격히 일어날 수 있습니다.

보다 높은 추세 확률을 위해 살펴볼 요소

1. 추세선의 길이: 추세선이 길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2. 추세점 횟수: 의미있는 고점이나 저점이 세번 형성될 때는 기존추세가 전환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상승추세에서는 추세점이 3개 형성될 때 주의해야합니다.

만약에 추세반전 없이 4개 이상 추세점이 형성된다면 그만큼 추세선의 길이가 길어지기 때문에 추가 상승의 신뢰도는 커집니다.

3. 추세선의 각도: 급등주처럼 추세선의 각도가 45도 이상 가파른 경우에는 추세전환 확률이 높습니다. 즉, 추세선이 완만한 상승 주식일 수록 신뢰도가 높습니다.

4. 추세대의 간격: 주가는 추세선을 따라 움직인다고 하기 보다는 추세대 내에서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움직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추세대의 간격이 좁다면 추세 전환시 급등락이 연출될 확률이 높다는 의미입니다. 즉, 추세대의 간격이 넓을 수록 추세선의 신뢰도는 높습니다.

5. 추세선의 기간: 단기 2-3개월, 중기 6-7개월. 1개월 이내에 만들어지는 추세대는 신뢰도가 낮습니다. 추세선의 기간은 추세선의 길이로도 해석 가능합니다.

추세전환시점이 매수시점이다.

평행추세선인 경우에는 지지선과 저항선을 설정하게 되는데, 상승과 하락 추세선이 서로 교차하는 부분이 추세반전이 일어날 확률이 높습니다.

매수시점은 지지선 역할을 하는 평행추세선과 하락추세선이 서로 교차하면서 추세이탈이 시작되는 지점입니다.

하락추세를 마무리하고 상승추세로 전환된 주식을 매수할 때는 중심이 되는 하락추세선을 기준으로 지지여부를 확인한 후 매수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 단기추세선이 상승세라 해도 연장된 하락 추세선을 돌파하지 못하면 상승에 탄력을 받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매수 관점: 거래량이 실리면서 평행추세선 상향돌파, 하락추세선 상향돌파, 저점과 고점을 높이는 상승추세선 상향돌파

매집대량거래를 동반한 추세전환 매수급소

바닥권에서 저점을 서서히 높이며 상승추세 반전을 노리는 주식에서 특히 바닥권에서 매집형 대량거래가 발생한 종목이라면 연장된 하락추세선 지지점을 안전한 매수시점으로 잡아야 합니다.

바닥권 대량거래는 세력의 단기 매집 가능성이 큰 매우 의미있는 시점입니다. 이후 전저점 지지를 조건으로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다시 평균거래량을 상회하는 거래량 증가시점이 매수포인트입니다.

긴 하락추세를 마무리하는 상태에서는 반드시 이전 저점(가장 낮은 주가)을 지지해야만 상승추세 반전을 노릴 수가 있습니다.

만약 큰 거래량 변동없이 이전 저점을 하향이탈한다면, 하락추세는 지속되고 상승반전의 기회는 점차 멀어지게됩니다.

중심추세선을 설정하라

상승추세선을 하향이탈한 다음 주가는 추세의 힘에 의해 다시 되돌림 효과를 가져옵니다. 이 시점을 직선으로 연결하면 추세대의 정중앙을 가로지르게 됩니다. 이 추세선을 '중심추세선'이라고 부르며, 상승시 일시적 저항과 지지선 역할을 동시에 수행합니다.

마찬가지로 하락추세에서도 그 중심추세선을 그을 수 있으며, 이런 중심추세선을 이용하면 단기 반등시점과 지지 시점을 어느 정도 예측가능하기 때문에 스윙이나 데이트레이더에게 최적의 매매구간입니다.

추세의 방향이 차트의 패턴 분석 한쪽으로 3개월 이상 지속된다면 그 추세의 힘은 강하다고 보면 무리가 없을 듯 합니다. 이 경우 주가는 중심추세선을 기준으로 주가 되돌림 현상이 자주 발생하게 됩니다. 이런 추세 원리를 이용한다면 매매시점을 노릴때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 상승추세의 지지선에서 매수하라.

- 중심추세선과 상승추세선의 50%부근까지 눌림목을 받습니다.

주가는 지지선을 확인해야만 상승할 수 있고, 저항선을 돌파해야만 주가의 상승은 지속됩니다.

매수급소 = 지지선 확인 + 거래량 증가 + 단기 바닥권 확인

지지선이 깨지면 저항선 역할을 한다고 했습니다. 그럼 저항선을 상향돌파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거래량 증가 이전에 다음 지지선을 확인해야만 합니다.

1차 지지선이 깨진 후 2차 지지선을 확보하지 못하면 주가는 상승하기 힘듭니다. 위로 올라가려면 일단 밟고 있어야하는 버팀목이 필요한 법입니다.

상승 중 대량거래와 긴 장대양봉이 출현하면 대부분 조정기간을 갖습니다. 추가 상승을 위해서는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저항선을 돌파한 양봉의 몸통 안쪽에서만 조정을 받아야 합니다. 장대양봉 밑으로 주가가 하락하면 추세반전 확률이 높습니다.

추세선은 상승이나 하락추세선 보다도 가격 변동이 적은 구간을 나타내는 평행(보합) 추세선이 가장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지지선과 저항선을 가장 잘 나타내주기 때문입니다.

상승추세에서는 일단 지지선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 상태에서 저항선이 상향돌파되면 이전 저항선은 곧 지지선으로 바뀝니다. 지지, 저항선의 돌파여부에 따라 추세의 방향이 결정된다 것을 잊지마시기 바랍니다.

평행추세대는 세력의 주가관리 구간을 의미합니다.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평행추세대를 상향돌파한다면 세력이 주가를 본격적으로 상승시키겠다는 의미로 보이는 것입니다. 매수급소는 바로 이때 탄생합니다.

지지선이 깨지면 버려라

지지선과 저항선은 곧 매물대를 의미합니다. 저항선이 뚫리면 매물부담이 그만큼 없어지지만, 반대로 지지선이 깨진다는 것은 어느 누가 물량을 대량으로 팔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것은 곧 실망 매물이 쏟아져 엄청난 매물부담을 가져옵니다.

지지선이 연속 붕괴된다는 것은 누군가 물량을 꾸준히 팔고 있다는 뜻입니다. 주가가 상투를 틀고 그냥 하락하는 주식은 짧은 반등만 일어날 뿐 주가를 단계적으로 지지하면서 하락하지는 않습니다.

가장 안전한 투자 방법, 박스권 매매: 박스권이 설정되면 반복해서 지지선 부근에서 매수, 저항선 부근에서 매도.

- 박스권 하단 붕괴: 하락 추세

박스권 상태의 주가가 상승추세로 전환하려면

1. 박스권 이탈 시점에 이르러 거래량 급증

2. 고점과 저점이 조금씩 높아짐

3. 일단 박스권을 상향돌파한 경우에는 단기간에(3-5일) 박스권 내로 다시 돌아오지 않습니다.

일시적으로 박스권을 하향이탈해도 거래량이 없으면 다시 박스권내로 재진입할 가능성이 큽니다.

박스권 내에서 큰 주가변동없이 평균 거래량 이상으로 대량거래가 발생하면 매집성 대량 거래로 간주합니다.

추세매매의 핵심: 추세매매에서 단기 매매는 가격 급변동이 심한 중소형주에서는 효율성이 떨어집니다. 추세 위주의 단기 혹은 중기적 매매는 중.대형주 위주로 종목을 제한해야 합니다.

고점에서 하락 반전된 주식은 거래량 증가에 따른 강한 지지선이 나타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상승 이전 저점까지 되밀릴 가능성도 높습니다. -> 이런 주식은 바닥권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매매하지 않도록 합니다.

떨어지는 칼날을 잡지 말고, 달리는 말에 올라타야 합니다.

상승추세 전환이 된 주가는 지지선이 깨지지 않은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합니다. 하락추세에서 바닥권을 벗어난 종목일수록 상승의 힘은 강하며, 이런 상승 추세 종목에 올라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투자방법입니다.

패턴 분석: 주식 차트에서 추세선이 변화될 때 나타나는 여러 가지 주가 변동 모형을 미리 정형화해놓고, 실제 주가의 움직임을 각 패턴에 맞추어 봄으로써 앞으로의 주가 방향을 미리 예측하는 기법

- 차트 분석 과정에서 자주 발생하는 유사패턴들에 대한 기본 정의로만 해석해야지 절대 매매 기준으로 삼으면 안됩니다.

· 상승형 패턴: V자형, W자형, N자형, 삼중바닥형, 원형바닥형

· 하락형 패턴: M자형, 역V자형, 원형천정형

· 지속형 패턴: 쐐기형, 삼각형, 확대형, 깃발형, 직사각형

· 급등형 패턴: V자형, N자형, L자형, 역L자형

1. 상승형 패턴

V자형 반등 패턴

  • 하락 추세 중에 빈번히 발생
  • 단기 급락에 따른 반발매수세를 불러와 급반등 연출
  • 거래량이 점증하면서 이전 고점을 돌파하면 강력한 상승추세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음
  • 하락 추세 중 급락은 이격률이 갑자기 커지는 데에 따른 매력이 큼
  • 매수시점: 거래량 증가와 함께 5일 변곡점이 탄생하는 시점 -> 5일 매매 패턴으로 공략

V자형 패턴은 거래량 없는 단기 급락주의 매물 공백을 노리는 것임

일반적으로 하락추세에서는 거래량이 줄어드는 특성이 있지만, 대량거래가 아닌 계단식 거래량 증가는 누군가 장중 고가권에서 매도 물량을 계속 쌓아놓으면서 저가권에서는 매집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갭하락을 동반한 급락인 경우에는 시초가를 연속해서 눌러버리는 상태이기 때문에 일반 투자자들은 심리적으로 매우 불안해 대부분 못 견디게 마련입니다.

급락과정에서 거래량이 오히려 점진적으로 늘어나는 종목을 잘 관찰할 것-> 매수급소: 증가하던 거래량이 뚝 떨어지면서 양봉이 출현하는 시점 (거래량 급락은 세력이 물량을 가지고 간다는 뜻)

세력주는 V자형 패턴을 이용해 주가를 급등시킨다.

세력주는 대부분 이평선을 밀집시키면서, '나 급등한다!'하고 모두 투자자에게 떠들어대지 않음.

주로 역배열 상태에서 출현하며, 급락을 동반해 일반 투자자들의 투매물량을 받으면서 데이트레이더의 접근을 막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주로 V자 급반등 패턴이 출현합니다.

주가하락시 큰 거래량 변화가 없다면 이미 팔 사람은 다 팔고 차트의 패턴 분석 살 사람도 이미 다 샀다는 뜻입니다. 이 상태에서의 급락은 최대의 공포감을 유발시킵니다. 이후 세력은 5일선 돌파와 함께 주가를 급상승시킵니다.

- 급등 중 고점에서 장대음봉이 출현했지만, 전일저점을 지지하면서 거래량이 오히려 줄면, 아직 갈길이 멀다는 세력의 의중을 엿보게 합니다.

주가가 단기급락하는데, 거래량이 아예 없는 경우 (매수자는 없는데, 매도자가 갑자기 나타난 형국)

부도 같은 악재에 의한 경우면 갭하락으로 추락하는 경우가 많고,

장대음봉으로 계속 주가를 억지로 밀어내리는 모습이면 누군가 작은 물량으로 겁을 줬다는 얘기

N자형 패턴: 급등주의 대표 패턴

- 1차 상승 후 일정한 조정 기간을 거친 수, 곧바로 2차 급등을 시도합니다.

단기 고점 다음에 이어지는 조정기간이 되도록 짧고, 봉의 길이 또한 단봉이며, 거래량이 크게 늘지 않으면 2차 상승확률을 높습니다.

N자의 패턴은 주로 20일 이평선 부근까지 눌림목을 줍니다.

* 매수 시점
1. 하락추세의 역배열 상태에서 거래량이 늘면서 역배열 상태의 이평선을 정배열로 급전환시킬 때
2. 20일선 눌림목을 줄 때, 바닥권에서 처럼 5일 변곡점이 탄생할 때

- 세력의 마지막 물량 테스트 구간에서는 거래량 때문에 개인투자자들은 접근이 쉽지 않습니다. 거래량 분출 시점에 최고의 매수급소입니다.

- 장기 횡보의 경우에는 이평선 돌파시점을 눈여겨 볼 것. 그리고 저항선도 갭으로 돌파하면 매수할 것

W자형 패턴은 전저점을 높여야 확률이 높음 (거래량도 두번째 바닥에서 더 높아야 확률이 높음)

- 저점을 지지하면서 더 이상의 저점 하락을 방치하지 않는다는 신규 매수세의 등장을 의미

* "바닥을 높인다 = 전저점을 지지한다 = 하락할 이유보다는 상승할 이유가 생겼다."

-> 여기서 거래량 마저 상승한다면, 매수세가 많아지는 것이고, 당연히 주가는 상승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뜻합니다.

W자형은 N자형으로 변형해 급등하기도 하지만, N자형이 합쳐져 마치 삼중바닥을 형성하는 것처럼 보이다가 급등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N자형 급등주인 경우에는 세력의 자본이 크고 사전에 충분히 물량을 확보한 상태에서 급등하지만, 세력의 자본이 크지 않은 상태에서는 1차, 2차 상승한 다음, 마지막 3차 때 급상승이 이루어지기도 합니다. (이 경우 고점에서 위꼬리는 매도 신호이므로 유의해야합니다.)

이중 바닥형 (W자형)은 무엇보다 단기이평선을 상승세로 돌려놓는다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합니다.

일단 저점을 높인다는 것 자체가 매수세가 이전보다 강하다는 것을 말하고, 이것은 곧 단기 이평선 위로 주가를 올려놓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단기적으로 저점이 높아진 상태에서는 5일선 기준으로 매수시점을 잡도록 합니다. (저점이 높아지면서 5일 변곡점 탄생:매수)

삼중 바닥은 저점을 반드시 높여야하며, 마지막 바닥권을 확인할 때는 거래량이 이전보다 늘어야 상승확률이 높아집니다. -> "삼중 바닥은 집을 팔아서라도 매수하라"

거래량 동반한 이전 고점 돌파 + 5일선 지지로 아래 긴꼬리가 달림 = 강력한 신규 매수세력 유입

바닥을 형성하는 과정에서는 거래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지만, 이내 하락추세를 돌파하는 시점에서는 큰 폭의 거래량을 수반합니다.

원형 바닥을 형성하는 기간이 길수록 완성된 후 큰 폭의 주가 상승이 나타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벌어져 있는 역배열 상태인 이평선을 한곳에 집중시키며 정배열로 전환되는 시점에서 거래량이 크게 증가합니다. 원형 바닥형 패턴은 바닥권에서 충분한 물량 소화가 이루어진 상태이기 때문에 중기적으로 상승의 폭이 큰 편입니다.

원형 바닥주패턴은 일반 급등주 패턴과 달리 의외로 시세가 강한 것이 특징입니다.

-중장기 투자자들이 노릴만한 상승 패턴으로 장기간에 걸쳐 완만하게 하락했다는 것은 그동안 물량 소화가 충분히 이루어졌다는 것을 말합니다.

2. 하락형 패턴

역V자형 패턴 (급등 뒤에 급락)

주로 L자형 급등주에서 주로 나타남.

단기간 상승폭이 큰 만큼 하락폭도 그만큼 크며, 주가 급등 이전 수준까지 하락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급등의 상황에서는 20일 이평선에서 눌림목을 주지만, 급락의 상황에서는 세력이 단기간에 빠져나가기 때문에 눌림목을 주는 경우가 드물게 나타납니다. -> 20일 눌림목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가장 속기 쉬운 패턴입니다,

주가가 지지선을 뚫고 내려오면 미련없이 던져야합니다. (특히 대량거래와 함께 뚫리면)

M자형 패턴 (이중 천정형: 전고점을 뚫지 못하는 M자형)

주가가 1차 급상승한 상태에서 후속 매수세력의 힘이 약해지면서 이전 고점을 뚫지 못하고 하락하는 패턴

- 1차보다는 2차가 봉우리가 작음

- 통상적으로 전고점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이전 고점보다 거래량이 많아아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패턴

하락 조건: 이격도 과다, 상투권에서 거래량 과다, (물량 털기용) 장대음봉

고점을 3번 확인하고도 실패하면 빠진다.

(매수세가 약하지는 않지만, 상승 한계를 드러내는 패턴: 2번의 시도로 매물벽이 쌓였기 때문에 더 그러합니다.)

쌍봉과 달리 삼봉은 후유증이 큰편입니다.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빠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원형 천정형 패턴 (힘 한번 못 써보는 패턴)

상승세인 20일선이 드디어 60일선 아래로 내려앉음. -> 본격적인 추세 하락을 알리는 데드크로스입니다. 가량비에 옷 젖듯 장기간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패턴입니다.

3. 지속형 패턴

삼각형 (삼각 수렴형) 패턴은 형태가 아니라 최종 방향이 중요합니다.

형태상으로는 대칭삼각형, 상승삼각형, 하락삼각형 등이 있으나, 중요한 것은 최종 수렴 정점에서 양봉이냐 음봉이냐에 따라 주가의 추세 방향이 크게 결정된다는 사실입니다.

즉, 실전에서 정작 중요한 것은 패턴의 형태가 아니라 주가가 수렴 후 최종적으로 트는 방향에 따라 추세가 결정된다는 사실입니다.

-> 주가가 한점에 수렴해갈 수록 내재된 힘은 강해지는데, 삼각형 수렴 정점에서 양봉이 출현하면 강한 급상승이 연출되고, 음봉이 출현하면 강한 하락추세가 연출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삼각형 패턴에서는 주가 수렴의 정점시점을 유심히 관찰해가며 매매포지션을 잡도록 해야합니다.

쐐기형 패턴은 주가 변동폭이 한곳으로 줄어든다는 점에서 삼각형 패턴과 비슷하나, 저항선과 지지선의 추세방향이 삼각형과는 달리 모두 같은 방향을 취하고 있습니다.

다른 패턴과 비교해서 일반적으로 거래량이 감소하면서 비교적 단기간에 형성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쐐기형의 형태와 관계없이 이평선 정점에서 주가의 최종 방향에 따라 추세가 결정됩니다.

깃발형 패턴은 조정국면을 나타낸다.

깃발형 패턴: 추세 지지선과 저항선이 평행을 이루는 상태

일반적으로 주가가 급등하거나, 급락하는 과정에서 단기간에 주가조정 국면을 나타냅니다.

상승추세에서는 위쪽 저항 추세선을 돌파할 때 매수시점이고, 하락추세에서는 아래쪽 지지 추세선이 뚫릴 때 매도 시점입니다.

깃발형 패턴 구간에서 거래량이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짧은 단봉이면서 아래꼬리가 달린 것은 세력이 주가 상승의 기회를 엿보고 있다는 뜻입니다.

대칭삼각형 패턴: 고점은 점점 낮아지고, 저점은 점점 높아지면서 주가가 한곳으로 수렴해가는 패턴입니다. 일반적으로 상승추세에서 많이 발견할 수 있으며,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저항선을 돌파할 경우 매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확대형(역삼각형) 패턴: 하락 추세를 암시.

저점과 고점을 동시에 높이는 과정에서 일일주가 변동폭이 점점 커지는 상태를 말합니다.

즉, 주가의 변동폭이 확대되면서 봉 길이가 길어진다는 것입니다.

고점이라면 당연히 탈출해야하는 패턴입니다.

확대형 패턴에서는 거래량이 매우 불규칙합니다. -> 일반인들의 뇌동 매매가 발생할 소지가 크고, 매매심리도 매우 불안정합니다.

헤드앤쇼울더 패턴 (Head & Shoulder Pattern)

반전형의 대표적인 패턴으로 천장권에서 주로 나타남. (바닥권에서는 역헤드엔쇼울더패턴)

헤드와 쇼울더로 구성되며, 목선으로 불리는 넥라인을 기준으로 세개의 봉우리가 나타나기 때문에 '3산형 패턴'으로도 불립니다.

왼쪽 어깨는 거래량이 늘며 상승하지만 오른쪽 어깨 부분에서는 거래량이 줄어들면서 하락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헤드앤쇼율더를 뒤집으면 역 헤드앤쇼울더 패턴이 됩니다.

바닥권에서 상승 반전을 암시하며, 헤드앤쇼울더 패턴과 달리 왼쪽어깨-머리-오른쪽 어깨 쪽으로 갈수록 거래량이 늘어나며 주가를 상승반전시킵니다. 그리고 되돌림 현상이 헤드앤쇼울더 패턴보다 자주 나타나는 것이 또 하나의 차이점이라 하겠습니다.

*참고로 기술적 분석 관련 다른 도서와 동영상 Link 올립니다.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of the financial markets)- 존 J. 머피(John J. Murphy)

투자도서요약: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Technical analysis of the financial markets)- 존 J. 머피(John J. Murphy)

주식 투자를 하다보면 크게 기업 가치에 대한 기본적 분석을 바탕으로 가치투자를 지향하는 사람과 주가 움직임에 대한 기술적 분석을 통한 매매 (trading)을 지향하는 사람을 만나게 됩니다. 그

차트의 기술 - 김정환

투자도서요약: 차트의 기술 - 김정환

요즘 한참 Trading 하기 좋은 시장이라는 글을 시황 차트의 패턴 분석 분석에서 올려드린 적이 있습니다. 혹시, 기술적 분석에 대해 교과서적인 책을 찾으시는 분이 있으시면, 한번쯤 고려해보실 만한 책 하나 추천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2. 분석편 - 박경철

투자도서요약: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2. 분석편 - 박경철

시골의사의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1편에 이어 2편인 분석편입니다. 우선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모두 분석의 내용에 포함 시켰다는 것이 눈에 띄입니다. 어느 쪽에 치우치지 않음은 느낄 수

시골의사의 다시 쓰는 기술적 분석 동영상 Link입니다. (기술적 분석 학습용)

시골의사의 다시 쓰는 기술적 분석 동영상 Link입니다. (기술적 분석 학습용)

방금 투자도서요약으로 시골의사 박경철님이 쓰신 주식투자란 무엇인가 2편을 올려드렸습니다. 2편에 소개된 분석 중 기술적 분석과 관련해서 시골의사님이 직접 강의한 것이 있어서 참고로

주식 차트 보고 트레이딩 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될만한 유투브 (창원개미TV)

주식 차트 보고 트레이딩 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될만한 유투브 (창원개미TV)

투자 도서 요약을 해서 블로그에 올리난 뒤에 보니, 주식 차트 관련한 책에 대한 조회수가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차트만 보고 하는 투자는 적극 말리는 입장이지만, 상승장, 특

차트의 패턴 분석

[YES24 X kittybunnypony] 나만의 독서 패턴 : 감각적인 패턴을 담은 9월의 굿즈 - 키티버니포니 파우치

9월의 얼리리더 주목신간 : 웰컴 투 북월드 배지 증정

예스24X매일경제 이 달의 경제경영서

[경제경영/자기계발] 투자도 자기계발도 이유가 있어요!

2022 우량 투자서 7선 - 번역서 신간 부문

9월 전사

쇼핑혜택

이 책을 구입하신 분들이 산 책

품목정보
출간일 2022년 08월 16일
쪽수, 무게, 크기 284쪽 | 518g | 152*225*18mm
ISBN13 9791191328592
ISBN10 1191328597

이 상품의 태그

책 속으로 책속으로 보이기/감추기

분명한 것은 어떤 주식이 특정한 추세를 따라 또는 특정한 추세대 안에서 오래 움직일수록 더 강력한 추세일 확률이 높다. 때문에 주간 내지 월간 고가, 저가, 종가 차트 같은 장기 차트의 추세선은 대개 일간 고가, 저가, 종가 차트에서 형성되는 추세선보다 신뢰도가 높다. 몇 주 동안만 형성된 추세선은 대부분의 경우 그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할 수 없다. 그러나 주가는 이전 추세선을 돌파하고 방향 전환을 시도한 후에도 다시 원래의 추세선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이런 지난 추세의 자력(磁力), 즉 추세선이 지니는 ‘되돌림 효과(Pull-back effect)’는 나중에 다룰 많은 패턴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이런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은 매수 및 매도 타이밍을 잡는 데 도움을 준다.
---「2장 추세」중에서

단기간에도 주가 변동의 고점과 저점은 투자자들에게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소규모 지지선과 저항선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당신이 상승 중인 종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막 매도하기로 결정했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갑자기 주가가 신고점에서 하락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당신은 ‘천장 매도’의 황금 같은 기회를 놓쳤다고 느끼지 않는가? 또한 당신이 심사숙고하는 사이에 주가가 전고점까지 반등하면 거기서 빠져나오고 싶지 않은가? 만약 많은 매수자가 이렇게 느낀다면 이 고점은 강력한 저항선이 된다. 처음에는 아주 적은 거래량을 수반한 채 거기에 도달했다고 해도 말이다.
---「3장 지지선과 저항선」중에서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헤드앤드숄더’는 시장 행동의 패턴을 가리키는 용어로서는 매우 추상적이고 상상력이 많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사람과 다른 예측 불가능한 요소를 수반하는 모든 행동 패턴과 마찬가지로 차트의 형태는 엄격한 공식을 따르지 않는다. 때로는 머리가 지점이나 곡선이 아니라 평평하게 ‘횡보 정체 구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때로는 어깨가 변형되어 양쪽의 균형이 맞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때로는 복합 헤드앤드숄더가 형성되기도 한다. 즉 작은 패턴이 큰 패턴 안에 담기거나, 왼쪽 어깨나 머리 또는 오른쪽 어깨가 2개가 되기도 한다. 피카소의 그림에 거액을 지불하는 사람들은 이런 모양에 놀라지 않을 것이다.
---「4장 헤드앤드숄더」중에서

이중천장의 정상적인 거래량 패턴은 각 고점 근처에서 거래량이 뚜렷하게 늘어나는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유효한 이중천장과 이중바닥을 연구한 결과 거래량 패턴에서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고점에서는 거래량이 적다가 다른 고점에서는 많을 수 있다. 실제로 일부 강력한 고점과 저점은 특이하게 적은 거래량을 수반하면서 형성된다. 최선의 규칙은 이것이다. 하나 또는 두 개의 고점 근처에서 거래량이 많거나, 눈에 띌 정도로 감소하는 이례적인 변화는 이중천장이나 이중바닥이 전개되는 것으로 확증할 수 있다.
---「5장 이중천장과 이중바닥」중에서

다른 반전 패턴에서 매수자와 매도자는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 주도권을 노린다. 이 기간에 한 집단에 이어 다른 집단이 번갈아 국면을 주도한다. 두 세력의 상호작용은 시장의 반전을 예비하고 차트 분석가에게 그 사실을 경고한다. 그러나 V자형은 다르다. 이름이 말해주듯이 V자형의 경우 대비할 틈이 없다. 다른 반전 패턴의 속성처럼 하락 추세에서 상승 추세로 나아가는 점진적인 변화가 없다. V자형 전환은 경고 없이 들이닥친다. 극적이고 결정적이다. 마치 미리 정해진 신호에 따라 매도자들이 매도한 모든 주식이 갑자기 처분되면서 매수자들이 한동
안 주도권을 잡을 것처럼 보인다.
---「7장 V자형」중에서

스윙 패턴에서 조정 국면이 나오는 것은 이익 실현이나 공매도 또는 추세를 저지하는 다른 모든 요인 때문일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구간이 첫 번째 구간과 거의 동일한 이유를 설명하려면 고등 통계학이나 심리학이 필요할 것이다. 어쩌면 모든 등락에서 나아간 거리의 절반만큼 되돌려지는 경향(50% 규칙)이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어떤 이유에서든지 간에 스윙 패턴의 첫 번째 구간과 두 번째 구간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차트 분석가는 차트의 패턴 분석 이 점을 활용해야 한다.
---「8장 스윙 패턴」중에서

조밀한 박스형, 깃발형, 페넌트형에서 나오는 돌파는 향후 추세를 말해주는 매우 믿을 만한 신호다. 이것들은 대개 빠르고 폭넓은 움직임에 앞서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을 알려준다. 이런 이유로 일부 단기 투자자들은 이 신호만 보고 행동한다. 확실히 믿을 만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다른 것보다 믿을 만한 패턴은 느슨하게 만들어진 박스형, 페넌트형 그리고 모든 쐐기형과 다이아몬드형이다. 이런 패턴은 대규모 추세 전개의 다른 신호들을 확증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당연히 지지선과 저항선 그리고 양호한 매수 지점 또는 매도 지점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10장 지속 패턴」중에서

투자자, 분석가는 1일 또는 2일 반전, 갭, 섬, 대활황일 등 이 장에서 다룬 모든 특이한 현상을 ‘경고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물론 각 사례는 차트의 전반적인 틀 안에서 고려해야 한다. 거기에는 추세선, 지지선 및 저항선 그리고 반전 패턴이 포함된다. 각 상황의 특수한 환경은 매수해야 할지 또는 매도해야 할지를 좌우한다. 그래서 불변의 법칙을 제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경고 신호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뒤에 나오는 일부 역사적 사례는 이런 경고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11장 반전일, 갭, 섬」중에서

분석가들은 생동감 있는 용어로 어떤 유형의 거래자를 잡느냐에 따라 이러한 상황을 ‘불 트랩(Bull Traps)’과 ‘베어 트랩(Bear Traps)’이라고 부른다. 기본적으로 불 차트의 패턴 분석 트랩은 어떤 종목이 한동안 고점 근처에서 비교적 좁은 구간을 형성할 때 나타난다. 이때 주가는 거래 구간을 돌파하여 새로운 고지로 올라선 다음 갑자기 이전 거래 구간의 저점(지지선)으로 하락한다. 그러면 ‘상승론자들(또는 마지막 상승 내지 거래 구간에서 매수한 사람들)’은 손실을 안은 채 발목이 잡힌다.

출판사 리뷰 출판사 리뷰 보이기/감추기

돈 되는 차트를 찾아라!
CRB 선물 가격 지수와 접시형 패턴을 개발한
윌리엄 자일러의 유일한 책!

윌리엄 자일러는 주식 투자를 하는 투자자들에게 낯선 이름일 것이다. 그를 거론한 인사도 많지 않거니와 그의 책은 세상에 단 한 권만 출간되었을 뿐이다. 그렇지만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은 것에 비해 윌리엄 자일러는 25년 넘게 전문 투자자문이자 차트 분석가로 활동하면서 주식시장에 상당한 흔적을 남겼다.

그는 오랫동안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 트렌드라인(Standard & Poor’s Trendline)에서 근무했으며, 1934년 그의 형 밀턴에 의해 설립된 CRB(Commodity Research Bureau)에서 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CRB의 선물 차트 서비스와 트렌드라인 차트 서비스 그리고 CRB 선물 가격 지수를 개발했는데, CRB 선물 가격 지수는 즉시 상품 시장에서 전반적인 가격 활동의 지배적인 지수가 되었고, 도입된 지 60년이 훌쩍 지난 지금도 세계 상품 가격 움직임을 측정하는 데 필수적인 기준점으로 남아 있다. 또한 그는 윌리엄 오닐의 컵 패턴의 선구자격인 접시형 패턴을 최초로 고안해냈으며, 실전에 유용한 핵심 차트들을 정리하는 데도 앞장섰다. 바로 이 책은 그가 오랜 기간 연구하며 정립한 결과물이다.

투자에 내재된 위험을 줄이는 패턴 63가지와
실전투자의 노하우들!

윌리엄 자일러는 본인이 만든 접시형 패턴을 두고 “꿈의 패턴”이라 불렀다고 한다. 이에 마크 미네르비니는 동의하며,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믿을 만하다는 코멘트를 남겼다. 이 책을 축약하는 코멘트이기도 하다. 윌리엄 자일러가 차트 패턴을 고안한 까닭 역시 투자에 내재된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다. 특히 이 책에는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믿을 만한 차트 패턴들이 수록되어 있고 투자자들에게 실전적으로 영감을 주는 상세한 설명이 뒷받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차트 패턴만을 기계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거래량의 움직임이 돌파와 돌파 실패, 속임수 실패 등등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전투자자들에게는 귀중한 정보가 아닐 수 없다.

이 책은 1962년에 쓰여졌다. 당시에는 기술적 분석이라는 게 흔하지 않았기에 그가 고안한 차트 패턴은 시간의 시험을 견뎌내야만 했다. 그리고 마침내 시간이 흘러 윌리엄 오닐과 마크 미네르비니 등에 의해 세상에 알려졌다. 기술적 분석의 고전이자 실전투자에 있어 필독서라 불리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이 책에는 마크 미네르비니가 말한 것처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믿을 만한 패턴이 총 63가지 나온다. 또한 이 책을 통해 추세를 포착하는 방법과 추세 전환의 신호가 무엇인지, 지지선과 저항선, 이중천장과 이중바닥, 선형 및 접시형, V자형, 스윙 패턴, 삼각형 패턴, 지속 패턴, 반전일과 갭 그리고 섬, 트랩, 시장평균지수, 200일 이동평균선 등 차트의 패턴을 통해 주식이 어느 방향으로 움직일지, 또 어느 지점에서 멈출지를 예측해볼 수 있다. 기술적 분석을 잘 아는 이라면 이 책에 실린 패턴이 마냥 생소하지 않을 것이다. 그럼에도 많은 패턴이 실려 있기에 신선함을 안겨 주기엔 충분할 것이다. 반면 기술적 분석을 이제 막 입문하는 이라면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도와주는 아주 귀중한 책이 될 것이다.

회원리뷰 (13건) 리뷰 총점 9.3

1장. 투자자를 위한 도구 ≫ 차트는 공급과 수요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록이다. ≫ 주식은 투자자들이 지불할 의사가 있는 만큼의 가치만 지닌다. 따라서, 확고한 경제적 팩트를 파악하는 것과 함께 대중의 심리에 대한 정확한 통찰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2장. 추세 ≫ 분명한 것은 어떤 주식이 특정한 추세를 따라 또는 특정한 추세대 안에서 오래 움직일수록 더 강력한 추세일 확;

≫ 차트는 공급과 수요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록이다.

≫ 주식은 투자자들이 지불할 의사가 있는 만큼의 가치만 지닌다. 따라서, 확고한 경제적 팩트를 파악하는 것과 함께 대중의 심리에 대한 정확한 통찰을 갖는 것이 필요하다.

≫ 분명한 것은 어떤 주식이 특정한 추세를 따라 또는 특정한 추세대 안에서 오래 움직일수록 더 강력한 추세일 확률이 높다. 때문에 주간 내지 월간 고가, 저가, 종가 차트 같은 장기 차트의 추세선은 대개 일간 고가, 저가, 종가 차트에서 형성되는 추세선보다 신뢰도가 높다. 몇 주 동안만 형성된 추세선은 대부분의 경우 그 추세가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예상할 수 없다. 그러나 주가는 이전 추세선을 돌파하고 방향 전환을 시도한 후에도 다시 원래의 추세선으로 돌아가려는 경향이 있다. 이런 지난 추세의 자력(磁力), 즉 추세선이 지니는 ‘되돌림 효과(Pull-back effect)’는 나중에 다룰 많은 패턴이 완성되는 과정에서 관찰할 수 있다. 이런 움직임을 인식하는 것은 매수 및 매도 타이밍을 잡는 데 도움을 준다.

≫ 단기간에도 주가 변동의 고점과 저점은 투자자들에게 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그에 따라 소규모 지지선과 저항선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당신이 상승 중인 종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막 매도하기로 결정했다고 가정하자. 그런데 갑자기 주가가 신고점에서 하락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 당신은 ‘천장 매도’의 황금 같은 기회를 놓쳤다고 느끼지 않는가? 또한 당신이 심사숙고하는 사이에 주가가 전고점까지 반등하면 거기서 빠져나오고 싶지 않은가? 만약 많은 매수자가 이렇게 느낀다면 이 고점은 강력한 저항선이 된다. 처음에는 아주 적은 거래량을 수반한 채 거기에 도달했다고 해도 말이다.

≫ 다시 한번 강조하자면 ‘헤드앤드숄더’는 시장 행동의 패턴을 가리키는 용어로서는 매우 추상적이고 상상력이 많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사람과 다른 예측 불가능한 요소를 수반하는 모든 행동 패턴과 마찬가지로 차트의 형태는 엄격한 공식을 따르지 않는다. 때로는 머리가 지점이나 곡선이 아니라 평평하게 ‘횡보 정체 구간’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때로는 어깨가 변형되어 양쪽의 균형이 맞지 않기도 한다. 그리고 때로는 복합 헤드앤드숄더가 형성되기도 한다. 즉 작은 패턴이 큰 패턴 안에 담기거나, 왼쪽 어깨나 머리 또는 오른쪽 어깨가 2개가 되기도 한다. 피카소의 그림에 거액을 지불하는 사람들은 이런 모양에 놀라지 않을 것이다.

≫ 이중천장의 정상적인 거래량 패턴은 각 고점 근처에서 거래량이 뚜렷하게 늘어나는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사실은 유효한 이중천장과 이중바닥을 연구한 결과 거래량 패턴에서 상당한 변화가 나타났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고점에서는 거래량이 적다가 다른 고점에서는 많을 수 있다. 실제로 일부 강력한 고점과 저점은 특이하게 적은 거래량을 수반하면서 형성된다. 최선의 규칙은 이것이다. 하나 또는 두 개의 고점 근처에서 거래량이 많거나, 눈에 띌 정도로 감소하는 이례적인 변화는 이중천장이나 이중바닥이 전개되는 것으로 확증할 수 있다.

6장. 선형 및 접시형

≫ 거래가 적고 대중에게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는 종목의 차트에서 더 많이 형성된다. 반면 이런 패턴이 지닌 수익 잠재력은 매우 크고 위험은 최소화 할 수 있다.

≫ 다른 반전 패턴에서 매수자와 매도자는 비교적 오랜 기간에 걸쳐 주도권을 노린다. 이 기간에 한 집단에 이어 다른 집단이 번갈아 국면을 주도한다. 두 세력의 상호작용은 시장의 반전을 예비하고 차트 분석가에게 그 사실을 경고한다. 그러나 V자형은 다르다. 이름이 말해주듯이 V자형의 경우 대비할 틈이 없다. 다른 반전 패턴의 속성처럼 하락 추세에서 상승 추세로 나아가는 점진적인 변화가 없다. V자형 전환은 경고 없이 들이닥친다. 극적이고 결정적이다. 마치 미리 정해진 신호에 따라 매도자들이 매도한 모든 주식이 갑자기 처분되면서 매수자들이 한동안 주도권을 잡을 것처럼 보인다.

8장. 스윙 패턴(N패턴)

≫ 스윙 패턴에서 조정 국면이 나오는 것은 이익 실현이나 공매도 또는 추세를 저지하는 다른 모든 요인 때문일 수 있다. 또한 두 번째 구간이 첫 번째 구간과 거의 동일한 이유를 설명하려면 고등 통계학이나 심리학이 필요할 것이다. 어쩌면 모든 등락에서 나아간 거리의 절반만큼 되돌려지는 차트의 패턴 분석 경향(50% 규칙)이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어떤 이유에서든지 간에 스윙 패턴의 첫 번째 구간과 두 번째 구간 사이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차트 분석가는 이 점을 활용해야 한다.

9장. 코일형(또는 삼각형) (쐐기형)

≫ 주가의 변동폭이 줄어들면서 매수세와 매도세가 일시적으로 완전한 균형을 이루었다가 임계점을 넘으면서 강상 상승 내지 하락으로 나타난다.

≫ 조밀한 박스형, 깃발형, 페넌트형에서 나오는 돌파는 향후 추세를 말해주는 매우 믿을 만한 신호다. 이것들은 대개 빠르고 폭넓은 움직임에 앞서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을 알려준다. 이런 이유로 일부 단기 투자자들은 이 신호만 보고 행동한다. 확실히 믿을 만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다른 것보다 믿을 만한 패턴은 느슨하게 만들어진 박스형, 페넌트형 그리고 모든 쐐기형과 다이아몬드형이다. 이런 패턴은 대규모 추세 전개의 다른 신호들을 확증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당연히 지지선과 저항선 그리고 양호한 매수 지점 또는 매도 지점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 투자자, 분석가는 1일 또는 2일 반전, 갭, 섬, 대활황일 등 이 장에서 다룬 모든 특이한 현상을 ‘경고 신호’로 받아들여야 한다. 물론 각 사례는 차트의 전반적인 틀 안에서 고려해야 한다. 거기에는 추세선, 지지선 및 저항선 그리고 반전 패턴이 포함된다. 각 상황의 특수한 환경은 매수해야 할지 또는 매도해야 할지를 좌우한다. 그래서 불변의 법칙을 제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경고 신호를 무시해서는 안 된다. 뒤에 나오는 일부 역사적 사례는 이런 경고가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준다.

≫ 분석가들은 생동감 있는 용어로 어떤 유형의 거래자를 잡느냐에 따라 이러한 상황을 ‘불 트랩(Bull Traps)’과 ‘베어 트랩(Bear Traps)’이라고 부른다. 기본적으로 불 트랩은 어떤 종목이 한동안 고점 근처에서 비교적 좁은 구간을 형성할 때 나타난다. 이때 주가는 거래 구간을 돌파하여 새로운 고지로 올라선 다음 갑자기 이전 거래 구간의 저점(지지선)으로 하락한다. 그러면 ‘상승론자들(또는 마지막 상승 내지 거래 구간에서 매수한 사람들)’은 손실을 안은 채 발목이 잡힌다.

≫ 시장의 추셍 맞서는 종목이 일시적으로 있다 하더라도 계속 버틸 수 있는 확률은 낮다. 주로 분석가가 알고 싶어 하는 것은 시장이 중간 수준의 강세 국면이나 약세 국면 또는 중립적 국면을 지나고 있는지 여부다.

≫ 공매도 잔량 추세 및 공매도 잔량 비율

≫ 트렌드라인의 단주 지수(단주 매매자들은 항상 틀린다..)

≫ 200일 이동평균선은 민감한 지표가 아니다. 추세 반전은 종종 이동평균 자체가 방향을 바꾸기 훨씬 전에 주가 변동에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 예측은 파종하고 매매는 수확한다.

② 얼마나 잃을 준비가 되어 있는가?

"전문가와 아마추어를 막론하고 월스트리트의 투자자들이 흔히 하는 하소연은 '수익이 났을 때 팔았어야 했다'는 것과 '조금 더 버텼어야 했다'는 것이다."

≫ 어떤 계획도 무계획보다 낫다!

≫ 주식시장에 대해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은 '자신을 아는 것'

≫ 합리적 분석가는 기술적, 경제적 측면에서 전반적인 시장 여건을 면밀하게 살핀다.

차트가 항상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다. - 가능성이 큰 지지선과 저항선을 가리키고 추세 반전을 알려줌으로써 매수시점과 매도 시점을 판단하는데 차트의 패턴 분석 도움을 준다. - 이례적인 거래량이나 주가 변동 등 많은 보상을 안길 수 있는 개별 종목의 특이점에 주목하게 만든다. - 상승이나 하락 또는 횡보 등 현재 추세의 진행 양상과&n;

차트가 항상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음과 같은 일을 할 수 있다.

- 가능성이 큰 지지선과 저항선을 가리키고 추세 반전을 알려줌으로써 매수시점과 매도 시점을 판단하는데 도움을 준다.
- 이례적인 거래량이나 주가 변동 등 많은 보상을 안길 수 있는 개별 종목의 특이점에 주목하게 만든다.
- 상승이나 하락 또는 횡보 등 현재 추세의 진행 양상과 그 속도의 가속 또는 감속 여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준다.
- 한눈에 해당 종목의 역사를 보여준다. 그래서 투자자가 상승기에 매수하는지 또는 반락기에 매수하는지, 그리고 주가가 역사적으로 높은 수준인지 또는 낮은 수준인지 말해준다.
- 경제 데이터 또는 종목 팁과 육감을 비롯한 다른 요소에 기반한 매수 결정을 확증(또는 취소)할 수단을 제공한다.

차트에 사용되는 패턴을 짧게 설명해주고 실제 차트에서 예시로 보여주고 있다.
이렇게 63가지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간단하게 그림과 핵심위주로 설명해주고 있어 부담없이 볼수 있는 책이었다.

63가지의 패턴을 전부 익힐수 있다면 좋겠지만 말처럼 쉽지 않으니
핵심차트를 쉽게 익히기에는 좋은 책으로 추천한다!

생물 과목과는 큰 인연이 없이 지내왔지만, 학교에서 과학 수업을 들을 때 가장 흥미로웠던 내용은 '인체의 구조' 였다. 선생님은 사람의 몸 속이 어떻게 생겼는지 인체 모형을 가지고 설명해주셨다. 그 모양은 실제 인체 장기의 모습과 완전히 똑같지는 않았다. 어린 마음에도 실제 모습은 좀더 복잡할거라는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그런 단순성 덕분에 오히려 이해에는 도움이 되었다.;

생물 과목과는 큰 인연이 없이 지내왔지만, 학교에서 과학 수업을 들을 때 가장 흥미로웠던 내용은 '인체의 구조' 였다. 선생님은 사람의 몸 속이 어떻게 생겼는지 인체 모형을 가지고 설명해주셨다. 그 모양은 실제 인체 장기의 모습과 완전히 똑같지는 않았다. 어린 마음에도 실제 모습은 좀더 복잡할거라는 느낌이 들었다. 그러나 그런 단순성 덕분에 오히려 이해에는 도움이 되었다. 실제 장기와 완전히 같았다면 이해를 거의 하지 못했을 것이다.

금융시장은 인간의 욕망이 그대로 드러나는 곳이다. 흔히 가치투자라 불리는, 적정주가를 산출한 후 그보다 더 낮으면 사고 높으면 판다는 방법은 일견 논리적인것 같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결함이 꽤 많음을 알게 된다. 가장 큰 문제점은 기업의 성장성까지 반영한 적정한 주가를 과연 제대로 산출할 수 있는가이다. 성장성에는 인간의 감정과 추정이 반드시 들어가게 된다. 이런저런 수치적 근거를 들어서 종목을 선택하더라도 결국은 감으로 찍은 사람과 큰 차이가 나지 않는 원인이 여기에 있다.

우리가 투자를 할 때 진정으로 살펴야 하는 것은 숫자를 들어 계산한 추론이 아니라 시장의 역사다. 가보지 않은 기업의 가치를 추정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지만, 이런 상황일 때는 사람들이 어떻게 행동했다는 기록은 충분히 신뢰할 만하기 때문이다. 그런 기록들을 패턴으로 정리한 책이 본서 '실전 차트패턴 63'이다.

기술적 분석가들도 패턴을 모두 신뢰하지는 않는다. 무의미한 그림 찾기 같다는 이유로 패턴 자체에 대해 의구심을 품는 사람도 많다. 그러나 이 책은 1960년대에 초판이 출판되었다. 실제 금융시장과 동떨어진 내용이었다면 역사속으로 사라졌겠지만, 실질적으로 차트의 패턴 분석 등장하는 패턴들이었기에 시간의 혹독한 검증을 거쳐 꾸준히 살아남을 수 있었다. 헤드 앤 숄더나 지지선, 저항선과 같은 개념을 아예 모른다면 금융시장 자체의 변화를 전혀 읽어내지 못하는 수준이다. 그런 '반드시 알고 있어야 하는' 내용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두었다.

패턴 그 자체만을 목차별로 정리했다면 단순히 정리집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한다. 아마존의 어떤 독자는 그런 부류의 책들에 대해 '늦게 제출한 대학과제같다'는 평을 내렸는데, 꽤 적절한 묘사라고 본다. 이 책은 패턴들을 다루면서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하기 때문에 이런 패턴이 나온다'는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했다. 기술적 분석이라는 접근법 자체가 '금융시장에서 인간들이 어떤 감정으로 움직이는가'에 대한 내용을 다루니만큼, 본질에 굉장히 충실한 내용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금융시장의 양상은 계속 변화하지만, 사람들의 행동 양식은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이 책에는 수십 년 동안 시간의 흐름을 거치면서 압축된 내용들이 차례로 정리되어 있다. 간단히 읽고 넘길 만한 내용은 아니고, 하나하나 꼼꼼히 익혀도 괜찮을 책이다.

차트의 패턴 분석

최근들어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매우 높은 시기인 것 같습니다.

많은 분들이 폭락으로 인해 울고 웃고 있습니다.

현물시장에서는 모두가 단합하여 울고, 웃고 서로 으쌰으쌰하지만.

선물시장은 서로 반대 포지션끼리 물고 뜯고 놀리는 상황이 자주 발생합니다.

비트코인 차트 분석을 할 때 항상 고려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알트코인(세력 코인 구분 방법은) 추 후 기술하겠습니다.

코인 박선생 의 차트패턴 분석 지금 시작합니다.

저는 비트코인 차트 분석 패턴을 2가지로 분류 합니다.

1.경험적으로 분석을 할 것이냐?

2.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을 할 것이냐?

박선생은 경험적으로 분석을 합니다.

경험적으로 분석 한다는 말은 실시간으로 비트코인의 힘을 보고 판단을 합니다.

최근들어 비트코인의 변동성이 매우 높은 시기인 것 같습니다.

경험 분석은 자신이 지금까지 선물/현물 매매를 하면서 지금까지의

비트코인의 무빙을 기반으로한 매우 주관적인 차트 분석입니다.

사실 경험 분석은 선물 단타를 하실 때만 쓰는게 좋으며 현물 매매시에는 지표를 꼭 확인하는게 좋습니다.

5월 29일 $37400에서 $33400 까지 빠르게 빠진 날입니다.

최근에는 선물매매 위주로 하는 박선생으로써는 3번째 동그라미에서 Short을 쳤습니다.

더 하락 할 줄 알았다는 거죠. 자, 어떻게 더 하락할줄 알았느냐.

이미 앞에서 올릴 기회를 두번이나 줬습니다. 근데 못올렸어요.

비트의 매수세가 약해진걸 알았고 매도세력이 수익을 실현하며 나온 반등에서 숏타점을 잡은 것입니다.

이런거 선물 매매하시다보면 많이 보시죠?

저는 보통 3번 기회를 줍니다. 상승하는 자리에서 상승하지못하고 다시 눌리고 이 것이 3번 반복되면

저는 그자리를 공매도(하락) 자리라고 봅니다.

경험 분석은 빠른 판단과 자기만의 매매원칙을 기준으로 고레버리지 단타 매매를 할 때 보통 사용합니다.

공매도를 잡을 때는 반등 시, 힘이 없는 양봉에서 잡으시고

공매수를 잡으실 때는 거래량이 작은 음봉이나 패닉셀 라인에서 잡는게 가장 좋습니다.

지표를 활용하여 분석

차트 패턴에 의한 분석입니다.

삼각 수렴 결국 하방이탈하며 1파동만큼 하방 이탈 되었다.

고점과 고점을 이어주고, 저점과 저점을 이어준 뒤, 주가가 삼각형 모양으로 수렴하는 것이 보이실 겁니다.

이렇게 가격이 한 방향으로 모이는 것을 삼각수렴 패턴이라고 부릅니다.

보통 하방 이탈 된 수렴패턴에서 첫 번째 파동의 하락만큼 수렴 하방 이탈 시 비슷한 만큼의 하락이 나온다.

이를 삼각수렴 하방이탈 패턴 이라고 부릅니다.

상승 패턴 패럴렐 트렌드

노란 선은 고점과 저점을 이은 선이 평행선이 될 때 페럴렐 트렌드 라고 부릅니다.

이는 상승 또는 하락 추세선을 그린 후에 추세선을 따라 공매수, 공매도 타이밍을 잡는 것입니다.

저항선에서는 Short, 지지선에서는 Long 을 잡고 추세선 이탈이 나올 것을 대비하여

손절가를 매우 타이트하게 잡는 것이 좋습니다.

저항과 지지

위 사진은 저항선과 지지선을 설명드리기에 매우 좋은 예시입니다.

저점을 이은 상방 지지선이 보이실 겁니다. 하지만 그 지지선은 무너졌고

그 지지선은 곧내 저항선으로 바뀌게 되었습니다.

이 돌파가 나온자리는 원래 저항을 받던 자리였는데, 지지로 바뀌게 됩니다.

여기서는 대부분의 트레이더가 공매도 포지션을 취하게 됩니다.

하락, 상승과 관계없이 지지를 받던 추세가 돌파를 당하면 저항으로 바뀌고

반대로 저항을 받던 추세가 돌파되면 지지로 바뀌게 됩니다.

이를 리테스트 라고 합니다.

따라서 비트코인의 주가가 지지선을 하방돌파하여 그 지지선이 저항선이 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대로 만약 저항선을 노란색 예측선이 상방 돌파를 한다면 다시 저항선이 지지선이 되어줄 것입니다.

지금까지 말씀드린 내용은 선물 매매 기법 중 매우 기본적인 것이며

다음 차트 패턴은 헤드앤숄더, 역헤드앤숄더 패턴 입니다.

그 후 피보나치를 설명할 생각입니다.

지표를 통해 매매 기법에 변화를 주는것은 좋지만, 매매 플랜을 짜는 것은 경험에 의존 하므로

매매를 소액으로 오래 해보시는게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선물 매매는 하락과 상승 그리고 그 배율까지 설정할 수 있는 아주 매력적인 매매수단입니다.

하지만, 레버리지를 설정할 수 있는만큼 리스크도 따르니 꼭 아래 링크를 숙지하시고 매매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비트코인 마진거래, 비트코인 선물거래 방법★(feat. 수수료할인)

다름이 아니라 몇 일 전에 Bybit 선물 거래소와 파트너쉽을 체결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선생의 코인 분석소 주인 코인 박선생입니다. 바이낸스, 바이비트, 비트멕스, 비트겟, FTX 등 여러 선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