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it 주문
저번 매수에 이어서 '매도' 기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매도 기능의 구성
마찬가지로 모바일앱 기준으로 작성 하였습니다. 화면을 먼저 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차례차례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매수와 동일합니다. 지정한 가격에 도달하면 매도 주문이 들어갑니다 . 마찬가지로, 정규장까지만 유효 합니다.
그림은 미국 증시 시간을 나누어 둔 것입니다. 해당 부분을 참고하시거나 현재 포스팅을 더 잘 이해하시기 위해서는 이 글을 먼저 읽고 오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것도 깊은 설명이 필요 없겠죠?
매수 시점에 호가창에서 거래되는 금액으로 '즉시' 매도주문이 들어갑니다.
1~3주 사는거야 뭐 별 문제 없겠지만, 거래금액이 커지거나 주문수량이 많아질 수록 더 싼가격으로 내려가면서 매도가 진행될 수 있는 점 주의 하셔야 합니다. ' 거래'이니 만큼 누군가 사려고해야 팔 수 있는 것으로 지정가 근처에서 다량매도하더라도 다음 사고자하는 가격이 낮은 가격으로 하락해버리면 그 가격으로 그냥 매도해버립니다.
매수에서 동일한 기능으로 겹쳐서 같은그림을 쓰게되는 군요.
그림처럼 '지정가'와 'AFTER지정'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동일한 것은 정해둔 가격에 도달하면 매도 한다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정규장에서 설정가격에 도달하지 않으면 '지정가'주문은 취소되나 'AFTER지정'은 유효합니다.
4. LOC (Limit on close)
역시 매수와 동일한 기능에 가격적인 부분만 다르다고 Limit 주문 보시면 됩니다. 매도 기능이기 때문에 '종가'기준으로 가격이 동일하거나 더 높아야 주문이 들어갑니다.
$50달러로 설정해두고,
--> $50에 매도 주문이 들어감
--> $55에 매도 주문이 들어감
장 중간에 올랐다가 내려가면, 매도 주문이 취소되면서 $50에 팔 수 있는 기회를 놓칠수도 있게됩니다 .
5. VWAP, TWAP
매수에서도 동일한 기능이 있었죠. 이건 분할매도 기능 이며, 역시 1000주이상 주문시에만 사용가능 하고, 가격은 입력이 안됩니다.
여기서도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VWAP는 거래량 평균가격, TWAP는 시분할 매도 방식입니다. VWAP로 하시면 거래량이 많을때 매도가 많아지고, TWAP는 그것과 상관없이 균일한 시간에 나누어 매도 합니다.
6. MOC (Market on close)
드디어 매수와 다른 기능이 나오는 군요. 'LOC'와 이름이 비슷하죠? 그렇습니다 비슷한 기능입니다.
'LOC'처럼 '종가'를 기준으로 매도 주문을 하지만, 다른점은 '시장가'로 매도를 해버린다는 점 입니다. ' LOC'는 유리한 가격 방향으로 매도 주문이 들어가고 설정가격보다 불리하면 취소를 하는 방식 이라면, 'MOC'는 종가 근처에서 시장가로 팔아버립니다. 주의하셔야하는 기능 입니다. 이번에 반드시 팔아야겠다 할때 쓸만한 기능입니다. 그래서 Limit 주문 가격을 설정하는 란이 없습니다 .
7. STOP과 STOP LIMIT
둘은 같이 묶어서 설명하는 것이 나을 것 같아서 묶어서 설명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STOP과 STOP LIMIT은 손절을 위한 옵션 입니다.
만약, $50에 샀는데, "$48로 떨어져버리면 이 종목을 손절하고 아니면 계속 가져가보겠다"라고 가정 해보겠습니다.
1. '지정가' $48를 매도 주문 설정한다면,
--> 주가가 $50이라도 그 즉시, 호가에 있는 가격으로 바로 팔려 버립니다. 즉, 손절을 하는게 아니고, 그냥 낮은 가 격에 팔아버리는 것이지요. 그럴일은 없겠지만, $47.99달러까지 호가가 Limit 주문 비어있었다면 아마 팔리지 않았겠지요?
2. STOP 또는 STOP LIMIT을 $48로 설정한다면,
--> 주가가 $50인 상황에서 매도 주문이 들어가지 않고 대기 하게 됩니다. 주가가 $48로 진입하는 순간 기능이 발동 하게 됩니다. 여기서 'STOP'과 'STOP LIMIT'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 $48에 도달하는 순간 '시장가'로 매도 주문이 들어갑니다.
: $48에 도달하는 순간 '지정가'로 매도 주문이 들어갑니다.
순식간에 주가가 떨어지거나, 떨어졌다가 회복하는 경우에 'STOP'은 무조건 $48을 기점으로 발동하여 다 매도가 진행되고, 'STOP LIMIT'은 '지정가'에 거래가 성립이 되어야만 매도가 진행 됩니다. 무조건 나는 $48에 손절치고, 다 빼버릴 것이다 라는 경우에 'Limit 주문 STOP'을 쓰면 될것 같습니다.
역시 두 기능의 장단점이 있겠죠. 'STOP'은 잠깐의 변동성으로 다시 회복하는 경우, 팔아버려서 불리해지거나 급락하는 경우 따라 맞춰서 '시장가'로 낮게 체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대신, 무조건 손절해야하는 경우 사람보다 빠르게 진행하겠죠. 'STOP LIMIT'은 순식간에 진행되서 나의 거래차례가 오지않고 넘어가면 팔지못하고, 급락하는걸 쳐다만 보게 될 수도 있습니다. 다만, 빠른 변동성에서는 손절하지 않고 지켜볼 수 있겠지요.
주문방법 : 서면(직접 주문표 작성 및 FAX를 통한 제출), 전화, 컴퓨터 통신(HTS), 모바일(MTS)
주문내용 : 종목, 유형, 가격, 수량, 계좌번호, 매수/매도의 구분
주문의 한도 : 코스피200선물옵션의 미결제약정 보유한도는 일반투자자의 경우 5,000계약 입니다.
호가의 유형
지정가 호가(Limit Order) 현재 시장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호가 형태로서 투자자가 지정한 가격 또는
그 가격보다 유리한 가격으로 거래를 하고자 하는 호가. 시장가 호가(Market Order) 수량만 지정하고 가격은 지정하지 않는 호가로써 수량이 전량 충족 될 때까지
가장 빨리 집행할 수 있는 가격으로 체결되는 호가. 최유리지정가 호가(Best Order) 시장가 호가처럼 가격을 지정하지 않지만 호가가 시장에 도달된 때에
가장 빨리 집행될 수 있는 가격을 [지정]한 것으로 간주하는 호가로써 시장가 호가와 지정가 호가의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음. 조건부지정가 호가(Conditional Limit Order) 시장에 도달된 때에는 지정가 호가로 거래에 참여하지만,
종가단일가 호가시간 전까지 체결되지 않는 경우에는 종가단일가 호가시간에 시장가 호가로 전환되는 호가
호가의 조건
전량충족조건(FOK, Fill or Kill) 당해 호가의 접수시점에서 호가한 수량의 전부에 대하여 체결할 수 있는 경우에는 거래를 성립시키고
그러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당해 수량의 전부를 취소하는 조건 일부충족조건(IOC, Immediate or Cancel) 당해 호가의 접수시점에서 호가한 수량 중 체결할 수 있는 수량에 대하여는 거래를 성립시키고
체결되지 아니한 수량은 취소하는 조건
MT4 지정가 주문(Pending Order)
저번 시간에는 시장가 주문(Market Order)에 대해서 알아보았다면, 이번 시간에는 지정자 주문(Pending Ord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지정가 주문에는 Buy Stop, Sell Stop, Buy Limit, Sell Limit이 있으며, MT4에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거래자들은 MT4에서 상품을 거래할 때 미래에 미리 설정한 가격으로 매수 혹은 매도를 하도록 지정가 Limit 주문 주문을 설정합니다. 따라서 선택한 상품이 미리 지정한 특정 가격에 도달하면 주문은 체결됩니다. 지정가 Limit 주문 주문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주문은 Buy Stop과 Sell Stop이며 그다음으로는 Buy Limit과 Sell Limit이 많이 사용됩니다.
Buy Stop은 미래에 상품을 특정 가격에 매수할 수 있도록 설정한 가격이며, 설정한 가격이 현재가 보다 항상 높으며 상품의 가격이 계속해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어 설정한 가격입니다. 반대로 Sell Stop은 미래에 상품을 특정 가격에 매도할 수 있도록 설정한 가격이며, 설정한 가격이 현재 시장가보다 항상 낮습니다. 이는 상품의 가격이 미래에도 하락할 것으로 보아 설정한 지정가 주문입니다.
Buy Limit은 현재가보다 낮은 지점에 지정가 주문을 넣는 것이며, 지정한 가격으로 하락을 했다가 다시 상승세를 탄다고 예상했을 때 넣는 주문입니다. Buy Stop과 Buy Limit의 가장 큰 차이점은 Buy Limit의 지정가는 현재가 보다 낮습니다. Sell Limit은 현재가보다 더 높은 지점에 매도 주문을 넣는 것이며, 현재 시장가가 그 지점까지 올라갔다가 다시 하향세를 탄다고 예상했을 때 넣는 주문입니다. Sell Stop 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Sell Limit의 설정 지정가가 현재가보다 높습니다.
MT4에서 지정가 주문 설정 방법
MT4에서 지정가 주문을 하시고 싶은 상품에 우 클릭하신 후 [New Order]을 누르시고 ‘Pending Order’을 설정하신 후 Buy Stop, Sell Stop, Buy Limit, Sell Limit 중 원하시는 주문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지정가 주문은 저희 웹사이트 혹은 포탈에서 MT4/5 다운 받으셔서 사용 하실 수 있으십니다.
제로마켓은 FX, 지수, 주식, 원자재 및 암호화폐 등 다양한 CFD 상품들을 제공합니다.
저희 홈페이지 및 네이버 블로그에서 교육자료, 주간시장분석 및 데일리 경제뉴스를 확인해보세요.
제로마켓에서 한국 원화 입출금, 테더 입출금등 한국 고객들을 위한 차별화된 서비스를 경험해보세요!
[프라임경제] 신한금융투자(Limit 주문 대표이사 김형진)는 미국 주식 'Stop-limit 주문' 서비스 시작을 기념으로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30일 밝혔다.
Stop-limit 주문(이하 스탑 주문) 서비스는 특정 가격에 도달할 때 매수·매도 주문이 실행되는 서비스다.
가령 현재가 100$ 주식을 보유한 고객이 90$까지 하락할 때 매도(손절)하고 싶은 경우, 스탑 매도 주문을 감지가 90$로 미리 설정하면 주가가 90달러로 하락한 경우 매도 주문이 실행된다. 상·하한가 제한이 없는 미국시장에서 리스크를 관리하는 유용한 방법 중 하나로 미국 현지에서 사용되는 기능이다.
주문 방식은 기존 주문과 같다. 예약 주문도 가능하며, 장중 주문 유형 설정을 스탑 주문으로 변경하면 된다. 유의할 점은 '매도 스탑' 주문 시 감지가는 현재가보다 낮게 '매수 스탑'은 현재가보다 높아야 해 실시간 시세를 면밀히 확인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국 주식 실시간 시세 확인, 주문 등 자세한 내용은 신한금융투자 PB 또는 나이트데스크를 통해 가능하다.
한편, 신한금융투자는 Limit 주문 스탑 주문 서비스 오픈을 기념해 '해외주식 스탑 주문 넣고 꿀잠 자자' 이벤트를 내달 29일까지 진행한다.
스탑 주문을 넣은 고객을 대상으로 주문 후기 작성자, 15회 이상 스탑 주문 사용 고객 중 추첨으로 템퍼(TEMPER) 베개를 증정한다. 또 스탑 주문 주문을 넣은 고객 중 선착순 100명에게는 '꿀스틱'을 제공한다(베개 당첨자 제외).
윤병민 신한금융투자 GBK사업부장은 "미국 주식시장은 한국 시간으로는 야간에 열리기에 급격한 주가 등락에 대응하기가 어려웠으나 스탑 주문으로 변동 리스크를 줄이게 됐다"며 "특히 이번 스탑 주문 기능은 고객의 요청으로 제작돼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예주 기자 [email protected]
0 개 댓글